+ 제     목 : 추석, 이런 생각 때문에 소화기계 힘들다.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가을의 명절 추석이 다가 오고 있습니다. 일년 중에서 가장 둥글고 밝은 달이 뜬다는 한가위를 기다리며 음식 준비를 하고, 오래 동안 보지 못했던 친척들과 즐겁게 이야기 나누며, 햇과일과 새 곡식을 맛 볼 생각을 하니 지금도 설레어 옵니다. 하지만 추석이라는 큰 명절은 부주의나 안일한 생각으로 건강에 무리를 주거나 위험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특히 과식으로 인한 소화불량, 명절 스트레스로 인한 위염 및 위산과다, 부주의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일어 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추석인데 이 정도는 먹어 줘야지’

가을로 접어 들게 되면 여름철 열을 발산하기 위해 확장 되어 있는 혈관이 점점 오므라들고, 소화기계 쪽으로 혈액이 많아져 소화가 촉진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을에 식욕이 많아져 자칫 과식으로 이어지기 쉬운데 추석이 있어 과식의 절정을 이룰 수 있습니다. ‘추석인데 이 정도는 먹어 줘야지’하는 생각으로 먹다 보면 결국 소화불량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소화불량이란 음식을 먹은 뒤 소화가 안 되는 증상을 모두 말합니다. 한가지 증상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속 쓰림, 트림, 구역질, 윗배 불편감, 위장이 팽팽한 느낌과 함께 복통까지 동반되어 일어나는 모든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일시적인 현상일 때에는 소화제를 먼저 찾기 보다는 꽉 조이고 있던 옷들을 느슨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유지시키며 소화가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그리고 하루 정도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좋으며 구토가 심할 때에는 구토물질이 기도를 막지 않도록 기도를 확보해주시고, 탈수가 일어 나지 않도록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지속될 때에는 의사의 진찰을 받아 처방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또한 식이 요법을 하고 있는 당뇨, 고혈압, 심장, 신장 환자들은 과식하지 않도록 특히 주의하며 친척들에게 자신이 식이 요법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 권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급체 방지 tip]

- 음식을 먹을 때에는 천천히 먹도록 합니다.
- 음식을 꼭꼭 씹고 넘깁니다.
- 즐거운 마음으로 식사를 합니다.


‘날씨가 쌀쌀한데 ‘이 정도야 괜찮을 거야’

여름철 내내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들이 날씨가 쌀쌀해지면서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하지만 가을철에 장염과 식중독이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들이 많이 모이는 추석 때에는 철저한 위생관리로 식중독을 예방해야 합니다. ‘날씨가 쌀쌀한데 이 정도야 괜찮겠지’하고 밖에 그대로 음식을 방치해 둔다던가, 도마나 행주 관리 등을 소홀하게 해 친척들과 함께 병원신세를 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식중독 예방 tip]

- 물은 반드시 끓여 먹습니다.
- 음식물 일부에 핀 곰팡이만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을 섭취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 어패류나 육류를 구입할 때 새지 않도록 잘 포장하고 다른 식품들과 접촉되지 않도록 운반에 주의해야 합니다. 항상 요리한 식품과 요리하지 않은 식품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주방 청결을 유지합니다. 행주와 수세미는 매일 삶아 햇볕에 말리고, 싱크대와 오븐 등 주방기기와 행주, 그릇 등 주방 물품의 청결 및 건조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 한 식품에 사용된 도마나 칼 등 식기구는 다른 재료의 식품을 이용하기 전에 반드시 교체해서 사용합니다.
- 고기, 어패류, 달걀 등 익혀 먹는 음식은 충분한 열을 가하여 먹습니다. 냉동 고기는 해동한 직후에 조리하고 고기는 70도 이상에서 충분히 익혀 먹습니다.
- 조리한 식품은 가급적 신속히 섭취하여 남지 않도록 합니다. 요리할 양을 미리 잘 설정하여 조리하는 것이 도움됩니다. 조리한 식품을 4-5시간 이상 보관할 경우 60도 이상이나 10도 이하 온도로 저장해야 합니다.
- 저장하였던 조리 식품을 섭취할 때도 한번 더 충분히 재 가열(70도 이상 온도에서 3분 이상) 후 섭취해야 합니다.
- 과일과 야채는 흐르는 물에 잘 씻어서 먹어야 합니다.
- 외출 후 손 씻기는 물론 요리나 식사 전후에 항상 손을 씻도록 합니다.
- 설사나 구토 증상이 있을 시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도록 합니다.


‘추석인데 이 정도는 해야 되지 않겠어’

추석이라고 해서 모든 가족이 재미있고 즐거운 일만은 아닙니다. 집안 여성 특히 며느리들은 명절에 대한 심리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명절 1~2주 전부터 머리와 가슴이 짓눌리고 답답하며 소화도 안 되고 평소 앓고 있던 위염이 악화되거나 스트레스 성 위염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는 스트레스 요인이 사라지면 증상이 없어지거나 완화 되기 때문에 ‘추석인데 이 정도는 해야지’하는 압박감에 혼자 시달리지 말고 다음과 같이 해봅시다.

[스트레스성 위염 예방 tip]

틈틈이 적절하게 휴식을 취해 먼저 육체적 피로를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 보다 중요한 것은 일을 할 때는 노동이라 생각하지 말고 일하는 가족끼리 즐겁고 흥미 있는 이야기를 나누면서 심리적인 부담감이나 압박감을 해소해 가면서 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남편을 비롯한 가족의 충분한 이해와 세심한 배려, 적극적인 협조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위염 심하거나 스트레스 요인이 사려 졌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지속될 때에는 의사의 진찰을 받아 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음글 : 당신 안에 살고 있는 기생충 주의보
이전글 : 속쓰림, 그냥 참지 마세요.